버스를 타고 매립지를 견학하며 설명을 듣고 있어요.
수도권 매립지 홍보관에서 홍보영상 관람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인천시 서구 거월로 61
-매립지 주변지역 환경 개선 및 주민 편익을 위한 인천시 특별회계 전입금 부담으로 2016년부터 매립지 처리비용 대폭 인상과 함께 제2 매립장이 2018년 사용 종료가 예상됨에 따라,수도권지역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의 안정적 처리를 위해 제3매립장 조성사업 추진.
-제3 매립장 조성 추진 사업비는 협정서 제4조(사업비분담),공사법 제20조(사업의 재원)의 규정 등에 의하여 3개 시,도 분담금으로 추진될 예정이며
-관악구는 매립지 전체 반입량 대비 5.5%로 분담금은 2016년 1,378,690,000 2017년 1,974,567,000
2018년 2,279,179,000 이다.
매립지 시설로는
-침출수 처리시설: 수도권매립지에서 발생되는 고농도 침출수를 안정적으로 처리하여 배출하는데, 주변지역의 환경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1일 6,700톤 규모의 침출수 처리장을 운영하고 있다.
-고체화 처리시설: 유기성슬러지(폐수슬러지,하수슬러지)를 고체화,시멘트 등과 혼합하여 일정기간 건조,양생하면 토양과 같은 물질로 전환됨.
이것을 쓰레기 매립장으로 운반하여 수시로 노출된 쓰레기 층에 복토하여 악취 발생을 최소화 하고 복토제로 대용하여 복토제 확보 문제를 해소하는데 유기성슬러지를 처리 및 재이용하고 있다.
-매립가스 관리센터: 매립가스 관리센터(중앙가스 소각장치)는 제 1,2매립장 포집시설에서 매립가스를 강제 추출하여 2차 대기공해가 없도롤 700도로 최적 소각 처리 하고 있으며,매립가스 재활용을 위한 기초시설(발전 및 냉난방) 설치 운영 중이다.
-500MW 발전시설: 매립가스를 자원화 하여 전력생산으로 에너지 수입 대체효과 및 경제적 부가가치 창출하고 있다. 551억원 전기 생산을 하고 있다.
-계량시설: 서울,인천,경기 등 58개 시군구에서 반입되는 1일 1만5,000톤 계량.
-악취 측정소: 악취물질 8개 항목 및 VOC 물질 3개 항목,미세먼지(PM-10),메탄,기상 등을 24시간 연속 측정하여 매립지 대기 환경에 대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감시체계 운영.
-실험실 등을 갖추어 운영 중이다.
'[청소행정특별위원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악구의회 청소특위]지금,재활용 정거장에는... (0) | 2016.03.12 |
---|---|
[관악구의회 청소특위]음식물 자원화처리 대행업체 방문 (0) | 2016.02.26 |
[관악구의회 청소특위]강남자원회수시설 방문/2016.2.24 (0) | 2016.02.24 |
[관악구의회 청소특위]관악구 폐기물 무단투기 전담 단속반 운영 (0) | 2016.02.03 |
관악구의회 청소행정 전반에 관한 특별위원회 구성 (0) | 2016.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