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탬이 되는 글]

♡중국 역사 왜곡[동북공정]구체화

왕정순 시의원 2006. 9. 8. 09:51
* 중국 역사왜곡 [동북공정] 구체화
동북 공정을 추진해온 중국 사회과학원 변강사지 연구센터는 그 동안의 연구 성과를 요약해 홈페이지에 실었습니다.

중국측 연구자들은 고구려사가 고대 중국 변방의 소수민족 역사라는 점을 강조하고 발해는 당나라의 지방 정권에 불과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기자 조선이 위만 조선과 한 4군, 고구려, 발해로 이어지는 시발점 역할을 했다고 평가하며 고조선, 부여에서 고구려까지 모두 중국 고대사에 포함시켰습니다.

청대 압록강 유역 개발을 주제로 한 연구에서는 압록강과 두만강 일대가 모두 중국의 영토라는 주장을 폈습니다.

중국 영토를 아예 한강 유역까지로 간주하고 신라와 고려, 조선이 영토를 확장하면서 중국 땅을 침범했다는 내용도 발견됩니다.

국제법상 무효가 될 수 있는 간도 협약의 의미를 축소하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동북 과정 1단계 과제로 선정된 20여 종류의 연구물은 속속 책으로 출간될 예정입니다.

중국 정부의 싱크탱크인 사회과학원의 연구물은 체계적인 학술 성과로 포장되고 있지만 곧 국가 정책을 의미하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중국이 조용하게 추진해온 동북 공정의 모습이 드러남에 따라 지난 2004년 한.중간 구두 합의로 봉합됐던 역사분쟁이 재연될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2002년, 중국은 5개년 계획의 동북공정 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그 첫 번째 사업은 고구려를 중국민족이 세운 지방정권으로 만드는 것.

우리나라가 강력하게 항의하자 지난 2004년 한-중 외교당국은 정부차원에서 고구려사 왜곡을 중단하고 양국의 우호가 훼손되지 않도록 노력하자는 등의 5개 사항을 합의합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여론이 잠잠해진 사이 중국은 양국합의가 무색하게 애초 계획 그대로 동북공정을 진행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인터뷰>김우준 (연세대 동서문제연구원 교수): "2004년 약속을 위반한 것입니다. 중앙정부 차 원에서 역사왜곡을 안 하겠다고 했는데 계속 진행했고 이번에 마무리를 지었기 때문이죠."

중국 동북공정은 중국 변방의 역사를 재정립하는 연구이자 중국 내 잠재적 갈등요인인 소수민족을 통합하기 위한 작업입니다.

또 대외적인 문제인 한국과의 영토분쟁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전략입니다.

심지어 현재 북한지역까지가 과거 중국의 영토였다는 황당한 주장은 중국이 한반도 위기 상황이 발생할 경우 발언권을 높이기 위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인터뷰>윤휘탁 (동북아역사재단 박사): "중국이 한반도 정세를 둘러싼 동북아의 국제질서를 유리하게 이끌기 위한 거시적인 전략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동북공정을 단순히 고구려 역사 빼앗기로 파악해 체계적인 대응이 늦었습니다.

민간기관이었던 고구려연구재단은 지난달에야 비로써 정부 산하 동북아역사재단으로 발족했습니다.

<인터뷰>서중석 (성균관대 사학과 교수): "역사문제는 역사연구를 떠나서는 해결할 수 없고 따라서 훌륭한 역사연구야말로 가장 강력한 무기가 될 수 있다는 거죠."

중국 정부가 공개적으로 동북공정의 내용을 밝힌 만큼 한반도의 왜곡된 역사가 중국 교과서에 실리는 것은 시간문제라는 시각이 지배적입니다.

이는 가뜩이나 꼬인 한일문제에 이어 한중간의 관계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보탬이 되는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가 건강해지는 10가지 방법  (0) 2007.08.09
18가지 지혜  (0) 2006.11.17
◈성공을 위한 7가지 결단  (0) 2006.07.20
◈웃음 생활화 5계명  (0) 2006.07.14
◈바라지 말라~!  (0) 2006.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