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역사왜곡 [동북공정] 구체화
동북 공정을 추진해온 중국 사회과학원 변강사지 연구센터는 그 동안의 연구 성과를 요약해 홈페이지에 실었습니다.
중국측 연구자들은 고구려사가 고대 중국 변방의 소수민족 역사라는 점을 강조하고 발해는 당나라의 지방 정권에 불과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기자 조선이 위만 조선과 한 4군, 고구려, 발해로 이어지는 시발점 역할을 했다고 평가하며 고조선, 부여에서 고구려까지 모두 중국 고대사에 포함시켰습니다.
청대 압록강 유역 개발을 주제로 한 연구에서는 압록강과 두만강 일대가 모두 중국의 영토라는 주장을 폈습니다.
중국 영토를 아예 한강 유역까지로 간주하고 신라와 고려, 조선이 영토를 확장하면서 중국 땅을 침범했다는 내용도 발견됩니다.
국제법상 무효가 될 수 있는 간도 협약의 의미를 축소하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동북 과정 1단계 과제로 선정된 20여 종류의 연구물은 속속 책으로 출간될 예정입니다.
중국 정부의 싱크탱크인 사회과학원의 연구물은 체계적인 학술 성과로 포장되고 있지만 곧 국가 정책을 의미하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중국이 조용하게 추진해온 동북 공정의 모습이 드러남에 따라 지난 2004년 한.중간 구두 합의로 봉합됐던 역사분쟁이 재연될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2002년, 중국은 5개년 계획의 동북공정 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그 첫 번째 사업은 고구려를 중국민족이 세운 지방정권으로 만드는 것.
우리나라가 강력하게 항의하자 지난 2004년 한-중 외교당국은 정부차원에서 고구려사 왜곡을 중단하고 양국의 우호가 훼손되지 않도록 노력하자는 등의 5개 사항을 합의합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여론이 잠잠해진 사이 중국은 양국합의가 무색하게 애초 계획 그대로 동북공정을 진행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인터뷰>김우준 (연세대 동서문제연구원 교수): "2004년 약속을 위반한 것입니다. 중앙정부 차 원에서 역사왜곡을 안 하겠다고 했는데 계속 진행했고 이번에 마무리를 지었기 때문이죠."
중국 동북공정은 중국 변방의 역사를 재정립하는 연구이자 중국 내 잠재적 갈등요인인 소수민족을 통합하기 위한 작업입니다.
또 대외적인 문제인 한국과의 영토분쟁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전략입니다.
심지어 현재 북한지역까지가 과거 중국의 영토였다는 황당한 주장은 중국이 한반도 위기 상황이 발생할 경우 발언권을 높이기 위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인터뷰>윤휘탁 (동북아역사재단 박사): "중국이 한반도 정세를 둘러싼 동북아의 국제질서를 유리하게 이끌기 위한 거시적인 전략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동북공정을 단순히 고구려 역사 빼앗기로 파악해 체계적인 대응이 늦었습니다.
민간기관이었던 고구려연구재단은 지난달에야 비로써 정부 산하 동북아역사재단으로 발족했습니다.
<인터뷰>서중석 (성균관대 사학과 교수): "역사문제는 역사연구를 떠나서는 해결할 수 없고 따라서 훌륭한 역사연구야말로 가장 강력한 무기가 될 수 있다는 거죠."
중국 정부가 공개적으로 동북공정의 내용을 밝힌 만큼 한반도의 왜곡된 역사가 중국 교과서에 실리는 것은 시간문제라는 시각이 지배적입니다.
이는 가뜩이나 꼬인 한일문제에 이어 한중간의 관계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동북 공정을 추진해온 중국 사회과학원 변강사지 연구센터는 그 동안의 연구 성과를 요약해 홈페이지에 실었습니다.
중국측 연구자들은 고구려사가 고대 중국 변방의 소수민족 역사라는 점을 강조하고 발해는 당나라의 지방 정권에 불과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기자 조선이 위만 조선과 한 4군, 고구려, 발해로 이어지는 시발점 역할을 했다고 평가하며 고조선, 부여에서 고구려까지 모두 중국 고대사에 포함시켰습니다.
청대 압록강 유역 개발을 주제로 한 연구에서는 압록강과 두만강 일대가 모두 중국의 영토라는 주장을 폈습니다.
중국 영토를 아예 한강 유역까지로 간주하고 신라와 고려, 조선이 영토를 확장하면서 중국 땅을 침범했다는 내용도 발견됩니다.
국제법상 무효가 될 수 있는 간도 협약의 의미를 축소하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동북 과정 1단계 과제로 선정된 20여 종류의 연구물은 속속 책으로 출간될 예정입니다.
중국 정부의 싱크탱크인 사회과학원의 연구물은 체계적인 학술 성과로 포장되고 있지만 곧 국가 정책을 의미하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중국이 조용하게 추진해온 동북 공정의 모습이 드러남에 따라 지난 2004년 한.중간 구두 합의로 봉합됐던 역사분쟁이 재연될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2002년, 중국은 5개년 계획의 동북공정 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그 첫 번째 사업은 고구려를 중국민족이 세운 지방정권으로 만드는 것.
우리나라가 강력하게 항의하자 지난 2004년 한-중 외교당국은 정부차원에서 고구려사 왜곡을 중단하고 양국의 우호가 훼손되지 않도록 노력하자는 등의 5개 사항을 합의합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여론이 잠잠해진 사이 중국은 양국합의가 무색하게 애초 계획 그대로 동북공정을 진행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인터뷰>김우준 (연세대 동서문제연구원 교수): "2004년 약속을 위반한 것입니다. 중앙정부 차 원에서 역사왜곡을 안 하겠다고 했는데 계속 진행했고 이번에 마무리를 지었기 때문이죠."
중국 동북공정은 중국 변방의 역사를 재정립하는 연구이자 중국 내 잠재적 갈등요인인 소수민족을 통합하기 위한 작업입니다.
또 대외적인 문제인 한국과의 영토분쟁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전략입니다.
심지어 현재 북한지역까지가 과거 중국의 영토였다는 황당한 주장은 중국이 한반도 위기 상황이 발생할 경우 발언권을 높이기 위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인터뷰>윤휘탁 (동북아역사재단 박사): "중국이 한반도 정세를 둘러싼 동북아의 국제질서를 유리하게 이끌기 위한 거시적인 전략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동북공정을 단순히 고구려 역사 빼앗기로 파악해 체계적인 대응이 늦었습니다.
민간기관이었던 고구려연구재단은 지난달에야 비로써 정부 산하 동북아역사재단으로 발족했습니다.
<인터뷰>서중석 (성균관대 사학과 교수): "역사문제는 역사연구를 떠나서는 해결할 수 없고 따라서 훌륭한 역사연구야말로 가장 강력한 무기가 될 수 있다는 거죠."
중국 정부가 공개적으로 동북공정의 내용을 밝힌 만큼 한반도의 왜곡된 역사가 중국 교과서에 실리는 것은 시간문제라는 시각이 지배적입니다.
이는 가뜩이나 꼬인 한일문제에 이어 한중간의 관계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보탬이 되는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가 건강해지는 10가지 방법 (0) | 2007.08.09 |
---|---|
18가지 지혜 (0) | 2006.11.17 |
◈성공을 위한 7가지 결단 (0) | 2006.07.20 |
◈웃음 생활화 5계명 (0) | 2006.07.14 |
◈바라지 말라~! (0) | 2006.07.09 |